국제 유가 하락에 상승률 꺾여…정부 “불안요인 잠재, 경계 늦추지 않겠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대를 기록하며 7개월만에 상승세가 꺾였다.
석유류와 농축수산물, 외식비 등 전반적인 가격 오름세가 지속됐지만 국제유가 하락에 석유류 상승폭이 다소 둔화된 영향이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8.62(2020=100)로 1년 전보다 5.7%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부터 지난 2월(3.7%)까지 5개월 연속 3%대를 보이다가 3월(4.1%)과 4월(4.8%) 4%대에 이어 5월(5.4%) 5%대로 올라섰고 6월(6.0%)과 7월(6.3%)에는 6%대까지 치솟았다.
구입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을 중심으로 체감 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6.8% 올라 전월(7.9%)보다 상승률이 낮아졌다. 생선·해산물, 신선채소, 신선과일 등 계절 및 기상조건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5개 품목으로 작성하는 신선식품지수는 14.9% 상승해 지난해 3월(15.2%) 이후 1년 5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 상승률은 4.4%로 전월(4.5%)보다 상승 폭이 둔화했고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4.0% 올랐다.
품목별로 보면 공업제품은 가공식품이 8.4%, 석유류가 19.7% 각각 오르면서 7.0% 상승했다. 기여도로 보면 전월 3.11%p에서 2.44%p로 하락했다.
농축수산물은 7.0% 올라 전월(7.1%)보다 상승률이 소폭 낮아졌다. 축산물은 3.7%, 수산물은 3.2% 올라 상승폭이 둔화했다. 다만 채소류가 27.9% 올라 전월(25.9%)보다 상승 폭이 커지면서 농산물은 10.4% 올랐다.
전기·가스·수도는 15.7% 올라 전월과 같은 수준의 상승률을 보였다. 공공요금 인상 여파로 전달 전기·가스·수도 상승률은 조사가 시작된 2010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한 바 있다.
개인서비스는 6.1% 올라 1998년 4월(6.6%)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외식이 8.8%, 외식 외 개인서비스가 4.2% 각각 올랐다.
기획재정부는 “앞으로도 명절 성수기 수요 증가,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성 확대 등 물가 불안요인이 잠재돼 있는 만큼, 경계감을 늦추지 않고 계속해서 모든 정책노력을 다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Tip.
[소비자 물가 상승률]
-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소비자물가지수의 전년 대비 변화율임. 소비자물가지수는 가구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지수로서 총 소비지출 중에서 구입 비중이 큰 약 460여 개 상품 및 서비스 품목들을 정하고 이를 대상으로 조사된 소비자 구입가격을 기준으로 산정됨. 가구의 소비구조 변화를 반영하기 위하여 5년 주기로 지수를 개편함.
[원자재]
- 원자재는 전세계 경제시장의 매우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제품들이 원자재를 원료로 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원자재의 가격이 변하면 원자재를 통해 생산하는 상품의 평균물가도 같이 변하게 됩니다. 참고로 원자재의 가격은 수요공급의 불균형, 지정학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변동될 수 있습니다
즉, 원자재 가격의 급변-> 제품의 원가 변화-> 물가의 불안정화-> 경기침체-> 투자수요가 줄어듭니다
[근원 물가지수]
- 우리 가정의 살림살이에서 농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너무나 큽니다. 농산물가격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소비자물가지수도 기상이변이 일어나면 폭등을 하게 됩니다. 즉, 소비자물가지수는 농산물가격의 변동에 따라 필요 이상으로 오버를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학자들은 ‘근원 물가지수’라는 새로운 물가측정 수단을 만들어 냈습니다. 근원 물가지수는 농산물이나, 원자재처럼 가격변동이 심한 것들을 제외하고 소비자들이 삶을 살아가는데 중요한 것들을 모아서 계산한 것입니다.
<자료출처=정책브리핑 www.korea.kr>
영박스미디어(youngbox00@naver.com)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활짝 열린 청와대…과거-현재-미래 관통하는 역사문화공간으로 (0) | 2022.09.05 |
---|---|
한 총리, 태풍 ‘힌남노’에 중대본 선제가동 긴급지시…“총력 대응” (0) | 2022.09.05 |
'청년창업자금대출' 들어보셨나요? (0) | 2022.09.05 |
추석연휴 고속도로 통행료 면제…입국 전 코로나19 안한다 (0) | 2022.09.05 |
2023년 군인 월급이 무려 100만 원? (0) | 2022.09.05 |